[프로그래머스]/python

[프로그래머스]2019카카오 겨울 인턴십>크레인 인형뽑기 게임

0_TLS 2023. 7. 4. 13:02

게임개발자인 "죠르디"는 크레인 인형뽑기 기계를 모바일 게임으로 만들려고 합니다.
"죠르디"는 게임의 재미를 높이기 위해 화면 구성과 규칙을 다음과 같이 게임 로직에 반영하려고 합니다.

게임 화면은 "1 x 1" 크기의 칸들로 이루어진 "N x N" 크기의 정사각 격자이며 위쪽에는 크레인이 있고 오른쪽에는 바구니가 있습니다. (위 그림은 "5 x 5" 크기의 예시입니다). 각 격자 칸에는 다양한 인형이 들어 있으며 인형이 없는 칸은 빈칸입니다. 모든 인형은 "1 x 1" 크기의 격자 한 칸을 차지하며 격자의 가장 아래 칸부터 차곡차곡 쌓여 있습니다. 게임 사용자는 크레인을 좌우로 움직여서 멈춘 위치에서 가장 위에 있는 인형을 집어 올릴 수 있습니다. 집어 올린 인형은 바구니에 쌓이게 되는 데, 이때 바구니의 가장 아래 칸부터 인형이 순서대로 쌓이게 됩니다. 다음 그림은 [1번, 5번, 3번] 위치에서 순서대로 인형을 집어 올려 바구니에 담은 모습입니다.

만약 같은 모양의 인형 두 개가 바구니에 연속해서 쌓이게 되면 두 인형은 터뜨려지면서 바구니에서 사라지게 됩니다. 위 상태에서 이어서 [5번] 위치에서 인형을 집어 바구니에 쌓으면 같은 모양 인형 두 개가 없어집니다.

크레인 작동 시 인형이 집어지지 않는 경우는 없으나 만약 인형이 없는 곳에서 크레인을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또한 바구니는 모든 인형이 들어갈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크다고 가정합니다. (그림에서는 화면표시 제약으로 5칸만으로 표현하였음)

게임 화면의 격자의 상태가 담긴 2차원 배열 board와 인형을 집기 위해 크레인을 작동시킨 위치가 담긴 배열 mov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크레인을 모두 작동시킨 후 터트려져 사라진 인형의 개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board 배열은 2차원 배열로 크기는 "5 x 5" 이상 "30 x 30" 이하입니다.
  • board의 각 칸에는 0 이상 100 이하인 정수가 담겨있습니다.
    • 0은 빈 칸을 나타냅니다.
    • 1 ~ 100의 각 숫자는 각기 다른 인형의 모양을 의미하며 같은 숫자는 같은 모양의 인형을 나타냅니다.
  • moves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1,000 이하입니다.
  • moves 배열 각 원소들의 값은 1 이상이며 board 배열의 가로 크기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입출력 예

boardmovesresult

[[0,0,0,0,0],[0,0,1,0,3],[0,2,5,0,1],[4,2,4,4,2],[3,5,1,3,1]] [1,5,3,5,1,2,1,4] 4

입출력 예에 대한 설명

입출력 예 #1

인형의 처음 상태는 문제에 주어진 예시와 같습니다. 크레인이 [1, 5, 3, 5, 1, 2, 1, 4] 번 위치에서 차례대로 인형을 집어서 바구니에 옮겨 담은 후, 상태는 아래 그림과 같으며 바구니에 담는 과정에서 터트려져 사라진 인형은 4개 입니다.

 

1

def solution(board, moves):
    bucket = []
    answer = 0
    size = 1
    max_num = max(moves)
    for i in range(len(moves)):
        for j in range(max_num):
            pick = board[j][moves[i]-1]
            if(pick != 0):
                bucket.append(pick)
                board[j][moves[i]-1] = 0
                break
    if bucket:
        while (size <= 30):
            for k in range(1, len(bucket)):
                if(bucket[k] == bucket[k-1]):
                    del(bucket[k])
                    del(bucket[k-1])
                    answer += 2
                    size -= 1
                    break
    return answer

=>시간초과

bucket을 다 만들어놓고 앞에서부터 돌면서 중복되는게 있으면 제거하고 answer +2

 

2

def solution(board, moves):
    bucket = []
    answer = 0
    max_num = max(moves)
    for i in range(len(moves)):
        for j in range(max_num):
            pick = board[j][moves[i]-1]
            if(pick != 0):
                bucket.append(pick)
                board[j][moves[i]-1] = 0
                break
    if bucket:
        idx_list = list(enumerate(bucket))
        size = len(bucket)
        for i in range(size):
            for j in range(size):
                if(idx_list[i][1] == idx_list[j][1]):
                    index1 = idx_list[i]
                    index2 = idx_list[j]
                    if(j - i == 1 or i - j == 1):
                        answer += 2  
    return answer

=> 틀림

마찬가지로 bucket을 다 만들어놓고 bucket에서 같은 값을 가진 원소의 인덱스를 찾아서 두 인덱스값의 차이가 1이면(연속된 것) answer +2

 

 문제1

   => for i in range(size):
            for j in range(size):
                if(idx_list[i][1] == idx_list[j][1]):
                    index1 = idx_list[i]
                    index2 = idx_list[j]
                    if(j - i == 1 or i - j == 1):
                        answer += 2  

for문에서 초기값 i =0, j=0이므로 idx_list[i][1] == idx_list[j][1]은 본인을 비교하는 것(필요x) -> j는 1부터 시작하는걸로 수정

 

문제2

=>for i in range(size):
            for j in range(1, size):
                if(idx_list[i][1] == idx_list[j][1]):
                    index1 = idx_list[i]
                    index2 = idx_list[j]
                    if(j - i == 1 or i - j == 1):
                        answer += 2  

=> bucket에 같은 값을 가진 원소가 두개 이상인 경우 문제발생. 예를들어 '4'라는 값을 가지는 원소의 인덱스가 각각 0, 8, 10이라고 할때 index1 = 0, index2 = 8 일때 두 인덱스값을 비교하지 않고 넘어가 index1 = 0, index2 = 10이 됨. -> index1, index2가 설정되면 그 다음 if문으로 넘어가도록 pass.

=>for i in range(size):
            for j in range(1, size):
                if(idx_list[i][1] == idx_list[j][1]):
                    index1 = idx_list[i]
                    index2 = idx_list[j]

                    pass
                    if(j - i == 1 or i - j == 1):
                        answer += 2 

 

문제3

주어진 테스트 케이스는 통과하는데 틀림

뭐가 문젠지 모르겠음

 

 

 

최종(1수정)

def solution(board, moves):
    bucket = []
    answer = 0
    max_num = max(moves)
    for i in range(len(moves)):
        for j in range(max_num):
            pick = board[j][moves[i]-1]
            if(pick != 0):
                bucket.append(pick)
                board[j][moves[i]-1] = 0

                if len(bucket) > 1:
                    if(bucket[-1]==bucket[-2]):
                        bucket.pop()
                        bucket.pop()
                        answer += 2
                break
    return answer

=>정답

1번 코드 수정한 것. 1에서는 bucket을 다 만들어놓고 bucket안에서 다시 비교함.(시간 오래걸림) -> stack활용. bucket을 만드는 과정에서 bucket의 top(bucket[-1])이 그 밑에 있는 원소(bucket[-2])값과 같을 때 pop을 두번써서 중복을 제거하고 answer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