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보기
더보기
제한사항
등차수열 혹은 등비수열 commo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마지막 원소 다음으로 올 숫자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
제한사항
- 2 < common의 길이 < 1,000
- -1,000 < common의 원소 < 2,000
- common의 원소는 모두 정수입니다.
- 등차수열 혹은 등비수열이 아닌 경우는 없습니다.
- 등비수열인 경우 공비는 0이 아닌 정수입니다.
입출력 예
common result
입출력 예 설명
[1, 2, 3, 4] | 5 |
[2, 4, 8] | 16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1, 2, 3, 4]는 공차가 1인 등차수열이므로 다음에 올 수는 5이다.
입출력 예 #2
- [2, 4, 8]은 공비가 2인 등비수열이므로 다음에 올 수는 16이다.
<풀이>
def solution(common):
if common[1] - common[0] == common[-1] - common[-2]:
return common[-1] + (common[1] - common[0])
else:
return common[-1] * (common[-1] // common[-2])
이렇게 풀면 엄청 쉬운 문제인데 이렇게 푸는 방법을 생각 못했다
'[프로그래머스]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코딩 테스트 연습 > 다항식 더하기 (0) | 2024.11.16 |
---|---|
[프로그래머스] 코딩 기초 트레이닝 > l로 만들기 (2) | 2024.06.30 |
[프로그래머스] 코딩 기초 트레이닝> 날짜 비교하기 (1) | 2024.06.27 |
[프로그래머스] 코딩 기초 트레이닝> 문자열 잘라서 정렬하기 (0) | 2024.05.30 |
[프로그래머스] 코딩 기초 > 간단한 논리 연산 (1) | 2024.05.05 |